top of page
GettyImages-1399328780.jpg
GettyImages-1336470423.jpg

경기 방식

테니스는 라켓을 이용해 노바운드나 원바운드 된 공을 상대편 코트로 효과적으로 넘겨야 점수를 얻을 수 있다. 테니스 경기는 단식과 복식, 혼합복식으로 나뉜다. 단식은 한 명씩 선수가 나서서 경기를 하는 것, 복식은 2인 1조로 경기를 하는 것, 혼합복식은 남녀 각 한 명이 조를 이뤄 경기를 하는 것을 말한다. 어느 경우든 포인트(point)·게임(game)·세트(set)·매치(match)의 4단계로 차근차근 승리를 쌓아가야 승자가 될 수 있다.

각 게임의 점수는 0점인 ‘러브(love)’에서 시작해 첫 포인트 ‘피프틴(15)’, 둘째 포인트 ‘써티(30)’, 셋째 포인트 ‘포티(40)’, 넷째 포인트 ‘게임’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두 선수나 양쪽 팀이 다같이 셋째 포인트까지 얻으면 ‘듀스(deuce)’가 된다. 그 상태에서는 연속으로 2번 포인트를 얻어야 게임을 가져오게 되는데, 앞서 한 포인트를 획득했을 때 ‘어드밴티지(advantage)’가 주어진다. 어드밴티지에서 상대편이 포인트를 따면 다시 듀스가 된다.

테니스 경기에서 한 세트를 이기려면 모두 6게임을 이겨야 한다. 단, 상대에 비해 2게임 차가 나야 하므로 게임 스코어 5 대 5가 되면 듀스 포인트처럼 게임을 진행한다. 그러나 만약 타이브레이크(tie break) 제도를 채택했다면 경기 방식이 달라진다. 게임 스코어가 6 대 6이 되었을 때 마지막 한 게임으로 승패를 가리는 방법인데, 번갈아 서비스를 넣어 12포인트 가운데 7포인트를 먼저 얻은 쪽이 승자가 된다. 한 경기의 최대 세트 수는 남자 5세트, 여자 3세트로 하되 남자는 3세트, 여자는 2세트를 선취하면 승부가 결정된다.

테니스 경기에서 실점을 하는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하나, 서비스한 공이 2번 다 규정된 서비스코트에 들어가지 않았을 때.
둘, 서비스 공이 코트 위에서 바운드되기 전에 리시버의 라켓·몸·유니폼 등에 닿았을 때.
셋, 서비스를 하려다가 그 공을 치지 못하거나 사이드라인(side line) 또는 베이스라인(base line)을 넘어갔을 때.
넷, 인플레이(in play)에서 공이 네트를 넘어가지 못했을 때.
다섯, 인플레이에서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가거나 심판대 등에 닿았을 때.
여섯, 인플레이에서 공이 코트에 바운드되기 전에 직접 선수의 몸이나 유니폼에 닿았을 때.
일곱, 인플레이에서 공이 2번 바운드되기 전에 라켓으로 쳐서 넘기지 못했을 때.
여덟, 인플레이에서 라켓·몸·유니폼 등이 네트 또는 네트포스트에 닿거나 넘어갔을 때. 다만, 타구 후에 관성으로 넘어갔을 경우 상대편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면 괜찮다.
아홉, 공이 2번 이상 라켓에 닿았을 때.
열, 라켓을 던져서 공을 쳤을 때. 서비스와 리시브는 1게임이 끝날 때마다 교대하며, 홀수 게임이 끝날 때마다 사이드를 맞바꾼다.


복식 경기의 경우 서비스 순서는 1세트가 끝날 때까지 바꿀 수 없다. 처음 서비스한 조의 파트너는 3번째에 서비스하고, 2번째 서비스한 조의 파트너는 4번째에 서비스한다. 그 이후는 앞서와 같이 되풀이한다.

경기장 및
경기 용구

테니스 경기장의 규격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첫째, 단식의 경우 코트는 가로 8.23m, 세로 23.77m의 직사각형을 이루며, 그 중앙에 네트를 설치해 2등분한다. 코트의 양쪽 끝에 있는 라인을 베이스라인, 양 옆에 있는 라인을 사이드라인이라고 한다. 네트에서 양쪽 코트 안 6.40m 거리에 베이스라인과 평행하게 서비스라인(service line)을 긋는다. 서비스라인과 사이드라인에 둘러싸인 부분을 센터서비스라인(center service line)으로 균등하게 2등분하여 서비스코트(service court)로 한다. 센터서비스라인의 너비는 5㎝로 하며 사이드라인과 평행한다.

각 베이스라인은 센터서비스라인의 가상(假想) 연장선에 있는 센터마크(center mark)로 2등분한다. 센터마크는 베이스라인으로부터 안쪽에 길이 10㎝, 너비 5㎝로 하고 베이스라인과 직각으로 긋는다. 그 밖의 라인은 모두 너비 2.5~5㎝로 하되 베이스라인만은 너비 10㎝로 해도 무방하다. 모든 치수는 라인의 바깥쪽부터 잰다. 공식 국제 대회의 경우 베이스라인으로부터 뒤쪽으로 6.40m 이상, 사이드라인으로부터 옆으로 3.66m 이상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둘째, 복식의 경우 경기장 규격은 가로 10.97m, 세로 23.77m의 직사각형이다. 또한 두 서비스라인 사이의 단식 경기장 사이드라인을 서비스사이드라인으로 한다. 그 밖의 코트에 관한 규칙은 단식의 경우와 같다. 베이스라인과 서비스라인 사이의 단식 경기 사이드라인은 제거해도 상관없다.

테니스 경기에 사용되는 네트는 지름 0.85㎝ 이하의 줄 또는 철사로 매달되, 그 양쪽 끝은 지름 15㎝ 이하, 높이 1.07m인 2개의 포스트(post) 위를 넘겨서 맨다. 양 포스트의 중심은 코트의 양쪽 사이드라인으로부터 각각 0.91m 바깥에 위치한다. 단식·복식 공용 코트에서 복식 경기용 네트를 치고 단식 경기를 할 때는 지름 7.5㎝ 이하 굵기의 ‘싱글즈 스틱’이라고 불리는 2개의 포스트로 네트를 1.07m 높이가 되게 받쳐주어야 한다. 양쪽 싱글즈 스틱의 중심은 단식 코트 사이드라인의 바깥쪽 0.91m에 위치한다.

네트는 볼이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촘촘한 그물이어야 하며, 2개의 포스트 사이 공간을 완전히 메우도록 설치한다. 네트의 높이는 중앙에서 0.91m로 하고, 그 지점에서 너비 5㎝ 이하의 순백색 끈(strap)을 팽팽히 밑으로 당겨서 맨다.

테니스 경기에 사용되는 공은 고무공의 표면에 펠트(felt)를 씌운 것이다. 공의 표면이 고르고 둥글어야 하며, 흰색 또는 노란색이어야 한다. 이음새가 있는 경우에도 솔기가 도드라져서는 안 된다. 지름은 6.35~6.67㎝이며, 무게는 56.7~58.47g이라야 한다. 바운드 규정은 254㎝ 위에서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뜨렸을 때 134.6~147.3㎝ 범위로 튀어올라야 한다. 또 8.17㎏의 압력을 가했을 때 공 안으로의 변형량이 0.56~0.74㎝ 범위여야 한다.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리턴 변형량은 0.89~1.08㎝라야 한다. 이 두 가지 변형 수치는 공의 가압축을 바꿔가며 3회 측정한 평균치로서 개개의 측정치 2회분의 오차가 0.08㎝ 이상을 넘으면 안 된다.

테니스 라켓은 줄이 프레임(frame)에 연결되고, 교차된 곳에서 서로 가로지르게 매어져 십자로 엇갈린 모양이 되어야 한다. 또한 줄을 매고 난 형태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특히 중앙 부분의 밀도가 다른 부분과 같아야 한다. 프레임의 크기는 핸들을 포함하여 길이 81.28㎝, 너비 31.75㎝를 넘어서는 안 되고 줄로 엮은 면은 길이 39.37㎝, 너비 29.21㎝를 넘어서는 안 된다. 또 라켓에 부속물이나 돌기 같은 물체를 달아서는 안 된다. 라켓의 변형 역시 금지된다. 다만, 마모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부속물을 부착하는 경우 그것이 규정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허용될 수 있다.

unnamed.jpg

테니스 코트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이태신)

MAJOR PARTNER

Bendigo - updated-1.png

ASSOCIATE PARTNERS

자산 2 .png
자산 7 .png
자산 3 .png
KakaoTalk_Photo_2023-04-23-22-17-00.jpeg

PARTNERS

자산 10 .png
자산 13 .png
자산 10 .png
  • Instagram
  • Facebook
  • 자산 4
자산 3 .png
bottom of page